매거진

Announcement board

  • HOME
  • 매거진

[뉴스레터 24] '토닥토닥 치유 글쓰기' 후기1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조회 15회 작성일 25-03-14 09:21

본문


64598_1648949013.jpg
64598_1648949022.jpg
 
지난 6월 27일부터 5회에 걸쳐 별난고양이꿈밭 사회적협동조합이 주관한 ‘2022 돌봄의 재구성’ 사업의 일환으로 ‘토닥토닥 치유 글쓰기’ 모임이 있었습니다. 참가자 안주현 씨의 후기를 전합니다.
64598_1661080513.jpg
 글쓴이  ???? 안주현

색깔빛깔 마음별 여행 수업 보조강사. 

교육과 예술이 어떻게 만나 삶과 함께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사람.

 
????

생각해보니, 글은 언제나 쓰고 있었다 


  

  초여름인 6월말부터 매주 월요일 오전 10시에 모여 글쓰기란 무엇인지, 왜 굳이 글쓰기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장애 아동 양육자는 물론이고, 비장애 아동의 엄마들과 20대 청년 두 명까지,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10명이 모여 ‘손으로 쓰는 대화’인 글쓰기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자리였습니다.

64598_1661080810.jpg

  출판 편집자이자 번역가이며 그림책갤러리 제라진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책 만들기 워크숍을 꾸준히 진행한 경험이 있는 신수진 강사님을 모시고 글로 소통한다는 것의 즐거움과 보람, 그리고 괴로움까지 한꺼번에 맛볼 수 있었습니다.

  첫 시간에 선생님은 “글을 잘 써서 얻는 이득은 무엇일까?”라고 질문했습니다.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이미 우리는 개인 메일과 보고서부터 SNS 속까지 사실 많은 글을 접하고, 쓰고 있기도 하다는 점을 상기시키면서요.

  내가 살면서 ‘글쓰기’를 해본 적이 있던가? 글쓰기라니, 잘해보고는 싶지만 영 자신은 없는데... 하던 내 안의 편견을 깨주는 지적이었습니다. 우리는 각종 문자와 카톡, 인스타그램의 짧은 글이든 긴 글이든 끊임없이 어딘가에 문장을 쓰고 있었는데, 그것을 글쓰기와는 무관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책에 담긴 글을 읽는 것만이 독서가 아니고, 리터러시란 꼭 책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뭐 독후감 정도는 돼야 글쓰기라고 할 수 있는 것 아닌가 하는 것은 저의 꽉 막힌 생각이었음을 깨달았습니다. 수많은 영상과 이미지 속에 살면서, 글쓰기라는 것을 나와는 별 상관없는 일로 여기거나 너무 과대평가한 나머지 부담감만 안고 있었던 것 아닐까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64598_1661081065.jpg
     의식하지 못하고 있지만 우리는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글을 읽고 쓰면서 살아가고 있다    

   위로와 공감으로 도약하는 글쓰기 


   여하튼 글쓰기에 대한 새로운 환기 덕분에 조금은 글과 가까워지고 만만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그렇게 첫 번째 수업이 끝나고 두 번째 시간에는 ‘요즘의 나’에 대한 간단한 글을 써보기로 합니다.

  문장을 끊지 않고 주절주절 말하듯이 이어서 제한된 시간 안에 써보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손을 놓은 뒤에는 서로의 글을 읽어 보고 선생님이 피드백한 내용까지 얹어 하나씩 문장으로 정돈해 갑니다. 그렇게 해서 총 10개의 문장으로 글을 완성해보았습니다.

  무엇이든 결국 ‘나’로 시작하는 것이 출발입니다. 가장 쉬우면서도 어려운 일이지요. 게다가 글로 쓴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자기소개서만큼 어려운 게 어디 있겠습니까?

  10명의 참가자들은 각기 다른 이야기로 자신을 보여줬습니다. 아이와 나, 남편과 나, 돌아가신 어머니를 생각하기도 하고, 요즘 드라마 속 주인공들과 나를 비교해가며 들여다보기도 했습니다. 다양한 삶의 모습들이 서로의 모습을 비춰주기도 합니다. 위로와 공감이 새로운 단계의 글쓰기로 도약하게 해주는 힘이 되는 듯합니다. 나의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공감대가 형성되고 ‘우리’의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것이지요.  

64598_1661081159.jpg

    세 번째 시간에는 화제의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본 감상을 나누었습니다. 아무래도 드라마라는 대중적 매체로 이야기의 물꼬를 트니 글쓰기라는 부담에서 벗어나 조금은 가볍게 수다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참가자들 대부분이 발달장애와 자폐를 가진 아이의 양육자들이었기 때문에 더욱더 진지하게 대중문화 속에 비춰지는 장애에 대한 시각과 비뚤어진 인식, 그로 인한 상처와 고민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비장애아 양육자인 저는 다양한 삶에 대해 다시 한 번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장애인과 함께하는 삶, 공감과 배려라는 문구는 우리 사회에서 아무런 실천적인 행위로 이어지지 못하고 영혼 없는 말, 메마른 단어로만 존재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함께한다는 말은 그저 다르고 특이한 것을 받아들인다는 말이 아니라 고통과 괴로움까지도 함께한다는 무게를 갖는 것임을 새삼 돌아보았습니다.

  이 주제로는 글쓰기 모임 시간만으로도 모자라 단톡방 안에서도 열띤 생각과 정보들이 불꽃 튀기게 오가기도 했습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넘나들며 글쓰기의 시간을 가진 것이죠. 토닥토닥 매거진(19호)으로 그날의 토론 내용이 발행되기도 했고요. 

64598_1661081253.jpg
 역시나 '우영우'에 대해서는 할 말들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별난고양이꿈밭 사회적협동조합 대표자 : 박정경 사업자등록번호 : 153-82-00426 대표전화 : 070-8900-9667 FAX : 070-8900-9666 E-Mail : scatdream@naver.com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천수로 52 2층 (오성빌딩)
Copyright © 2021 별난고양이꿈밭. All rights reserved.Designed By ADS&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