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Announcement board

  • HOME
  • 매거진

[뉴스레터 26] '맘 편한 가게 발굴단' 이야기 2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조회 16회 작성일 25-03-14 09:49

본문

64598_1648949013.jpg
64598_1648949022.jpg
 

  밥을 먹고 차를 마시고 쇼핑을 하러 가는 수많은 가게들. 자신이 돈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받는 것이 당연한 곳조차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들은 마음 편안히 가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발달장애인 가족이 주눅들지 않고 갈 수 있는 가게는 어디 없을까? 이런 가게들의 정보를 다른 가족들과 공유한다면 훨씬 편안한 일상을 살 수 있지 않을까? 발달장애 가족 지원사업을 하고 있는 '행복하게' 협동조합이 바로 그 일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맘 편한 가게 발굴단' 프로젝트를 소개해드립니다. 


발달장애 친화적인 맘 편한 가게’ 발굴단 이야기

- 엄마들이 지도를 만드는 이유


글쓴이  ???? 김덕화 

행복하게 협동조합 대표. 제주에서 발달장애 가족을 이어 행복한 공동체를 만들고 싶은 사람.

 

>> 앞에서 이어집니다. 

 

64598_1663486226.jpg
안산의 '오소가게' 리플렛

언젠가는 안산시 오소가게처럼...


처음이지만 겁없이 ‘맘 편한 가게 발굴단’ 사업을 추진할 수 있었던 이유는 좋은 모델이 있었기 때문이다. 발달장애 부모의 어려움은 지역을 막론하고 동일한 것이라서 우리와 똑같은 생각을 먼저 실행에 옮긴 단체가 있었다. 안산의 ‘꿈꾸는 느림보 사회적협동조합’ 역시 우리와 같은 발달장애 부모로 구성된 협동조합으로 그 지역의 장애친화 가게를 발굴하고, 지도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이를 시작으로 지역사회에서 열심히 노력한 결과 안산시와 지역 복지관 등이 협의체를 구성해 ‘오소가게’라는 장애친화 가게 인증사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맘 편한 가게 발굴단’ 프로젝트를 시작하자마자 안산에 가서 오소가게를 찾아서, 오소가게 협의체 관계자분들을 만나고, 오소가게로 인증된 가게를 직접 찾아갔다.

안산 오소가게는 두개의 복지관이 주축이 되어 장애친화마을 만들기와 오소가게 앱지도 제작, ACC(대체의사소통수단) 메뉴판 보급과 지원을 하고 있었다.

오소가게는 모든 면에서 놀라움과 부러움의 연속이었다. 특히 두 가지가 부러웠다. 장애가족 당사자와 그 장애가족의 어려움을 잘 아는 복지전문가가 진정성을 가지고 힘을 합쳐 사업을 하면 이런 성과를 낼 수 있구나! 그리고 행정이 뒷받침해주면 지역 사회 전체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구나! 제주에도 이렇게 행정과 복지전문가와 장애당사자가 모두 협력하는 모델을 만들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저절로 들었다.

64598_1663486237.jpg
안산 상록장애인복지관을 찾아 도움이 되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맘 편한 가게' 발굴은 지속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모아진 ‘맘 편한 가게’ 목록은 80여 개에 이른다. 업종도 식당, 카페, 미용실, 편의시설, 병원, 학원, 숙소 등 다양하다. 막바지로 지도 디자인 작업을 열심히 하고 있다. 10월에는 예쁘게 제작된 ‘맘 편한 가게 지도’를 제주 지역사회에 내놓을 수 있을 것 같다.


발달장애가족에게서 추천받은 가게에 찾아가 "맘 편한 가게로 추천이 들어왔는데, 동참하시겠어요?"라고 물으면 당연한 듯 "네!" 하고 대답하며 우리가 무엇을 더 준비해야 하냐고 물어봐주시는 사장님들. 그때마다 마음 속 환한 등불이 하나씩 켜지는 기분이다.

 

‘맘 편한 가게 발굴단’은 제주시소통협력센터 제주생활탐구로 마무리되겠지만, 맘 편한 가게 발굴 프로젝트는 앞으로도 지속되어야만 한다. 장애가족뿐만 아니라 제주도에 사는 누구나 어떤 차별도 제약도 받지 않는 ‘맘 편한 가게’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것은 장애인을 비롯한 취약한 사람들이 살기 편한 사회임을 보여주는 지표가 될 것이니까. 그 일에 우리 '행복하게' 협동조합도 늘 함께할 것이다. 우리는 엄마이자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나가는 시민이니까!

 

 ???? 맘 편한 가게에게 바라는 점

  • 특별하게 생각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다른 손님처럼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맞이해주세요.
  • 장애가족에게 말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직접 이야기해주세요.
  • 장애특성에 따른 요청사항(음악소리를 줄이기, 특정 식재료를 빼기, 포크 제공 등)이 있을 수 있어요. 가능한 범위 안에서 들어주세요.
  • 함께 사는 법을 연습하고 있어요. 그 길에 동행하는 마음을 가져주세요.
64598_1663488223.png
가을이 시작되는 추분이 있는 한 주입니다  
가을바람에 마음의 여유를 찾으실 수 있기를!
별난고양이꿈밭 사회적협동조합
scatdream@naver.com
수신거부 Unsubscribe
* 발행자와 글쓴이 허락 없는 무단전재를 금합니다.  
별난고양이꿈밭 사회적협동조합 대표자 : 박정경 사업자등록번호 : 153-82-00426 대표전화 : 070-8900-9667 FAX : 070-8900-9666 E-Mail : scatdream@naver.com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천수로 52 2층 (오성빌딩)
Copyright © 2021 별난고양이꿈밭. All rights reserved.Designed By ADS&SOFT.